이익분배제도 -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4 14:42
본문
Download : 이익분배제도.hwp
2. 이연지급계획
이익을 즉시 지급하지 않고 퇴직, 해고 등 특정한 사유가 발생시에 지급하는 계획인데 세금의 effect가 크기 때문에 대부분이 이방법을 택하고 있따
3. 혼합계획
현금분배계획과 이연지급계획을 절충한 형태이다
Ⅲ. effect 및 제약점
1. effect
기업측과 종업원과의 협동정신을 함양 강화하여 노사관계 개선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종업원은 자기의 이익배당액을 증가시키기위해 작업에 열중하므로 능률증진을 기할수 있으며 이익배당참여권과 분배율을 근속년수와 관련시킴으로써 장기근속을 장려하게 된다
2. 제약점
수입안정성이 적고 분배는 결산기에 확정되므로 작업능률의 자극effect가 부족해질수 있으며 기업이익의 증감이 종업원이 아닌 기업측의 능력이나 기업외적인 環境요인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 이익분배제도 -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인문사회레포트 , 이익분배제도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Ⅱ. 형태
1. 현금분배계획(cash distribution plan)
이익을 분기별 혹은 연도별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인데 그 기간이 길수록 동기부여의 effect가 감소한다.
이익분배제도 -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Download : 이익분배제도.hwp( 57 )
순서
이익분배제도
다. 회계처리조작으로 결산이익을 조정할수 있따
Ⅳ. 전술적 도입plan
1. 제도도입시 고려사항
1)급여수준(pay level) 계획
종업원의 급여총액을 주요 경쟁사 및 외부시장의 급여수준과 비교하여 충분히 경쟁력 있는 수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2)급여구성(pay mix) 계획
급여총액대비 이익분배액의 비중을 어느정도로 할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말하자면 성과급제는 개인의 작업능률과 직결된 임금계산방법인데 비하여 이익분배제는 기업이익과 관련되어 사전적으로 그 실시가 결정된 종업원의 이익배당제도인 것이다.
설명
이익분배제도(profit - sharing plan)
Ⅰ. 서설
이익분배제도란 기본적 보상이외에 각 영업기마다 결산이익의 일부를 종업원에게 부가적으로 지급하는 제도. 1842년 프랑스의 도장공 그 클레르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던 그 목적은 노동관계의 개선, 작업능률의 증진, 종업원의 생활안정이었다
그런데 이익분배제는 일반적인 성과급제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즉 기…(skip)


레포트/인문사회
이익분배제도,인문사회,레포트
이익분배제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