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23:33
본문
Download : 원효사상.hwp
또한 넓은 마음, 넉넉한 마음, 따뜻한 마음이라 할 수 있따 그는 <대승기신론소>에서 일심을 다음과 같이 정이하고 있따
일심이란 무엇인가? 더러움(生滅門)과 깨끗함(眞如門)의 모든 법은 그 성품이 둘이 아니고 참됨과 거짓됨의 두 문은 다름이 없으므로 하나라 이름하는 것이다.
하나가 곧 일체이며 일체가 곧 하나인 일심은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논함에 있어 적극적·긍정적으로 말하자면 ꡐ여래장(如來藏)ꡑ과 같다. 원효는 백가(百家)의 다른 주장을 지극히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부처의 뜻에 따라 모두 화해시키고 있따 <십文化(culture) 쟁론>에서 그는
부처가 세상에 있었을 때는 부처의 원음(圓音)에 힘입어 중생들이 한결같이 이해했으나 … 쓸데없는 이론(理論)들이 구름 일어나듯 하여 말하기를 ꡐ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생략(省略))
순서
다.원효의 일생이 어떠했는지를 설명하고 그의 사상들을 각각 나열하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화쟁(和諍)사상
화쟁회통은 이쟁(異諍)들을 화회(和會)시키는 원리이다. 이미 둘이 없는데 어떻게 하나가 있으며, 하나도 있지 않거늘 무엇을 두고 마음이라 하겠는가. 이 도리는 언설을 떠나고 사려를 끊었으므로 무엇이라 지목할지 몰라 억지로 일심이라 부르는 것이다. 동시에 중생의 마음(衆生心)이기도 하다. 이 둘이 아닌 곳에서 모든 법은 가장 진실 되어(中實) 허공과 같지 않으며, 그 성품은 스스로 신령스레 알아차리므로(神解) 마음이라 이름한다.원효사상 , 원효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원효사상
,인문사회,레포트
원효사상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원효사상.hwp( 12 )
설명
2. 원효의 사상
1) 일심(一心)사상
일심은 살아있는 모든 것들의 ꡐ마음의 통일ꡑ을 상징한다.
원효의 일생이 어떠했는지를 설명하고 그의 사상들을 각각 나열하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원효에게 있어서 일심은 모든 생각의 갈래들을 묶는 벼리이며 모든 것의 근거이다. 이렇듯 초험적인 보편성을 띄게 되는데 원효는 그것을 ꡐ대지혜의 광명(大智慧光明), 온 세상 만물을 남김없이 비추는 것(遍照法界), 있는 그대로 아는 것(眞實識知), 그 본성이 맑고 깨끗한 것(自性淸淨), 변함이 없는 것(不變), 스스로 존재하는 것(自在), 시원하고 서늘한 것(淸凉)ꡑ과 같은 상징적 용어로 표현한다.